지난 '스테이블 코인에 대하여 I'에 이은글 (https://equityequalityefficiencyjustice.tistory.com/16) #스테이블 코인이란? 스테이블 코인은 1달러에 페깅(=맞춘다)되어 있는 코인을 말한다. 조금 더 쉽게 얘기하면 가격이 1달러에 고정되어 있는 코인을 말한다. 여기서 1달러를 어떻게 고정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에 따라서 종류가 나뉘기도 한다. 가령, 암호화폐 시장을 강타했던 루나사태의 UST라는 스테이블 코인은 알고리즘에 따라 1달러를 맞추는 방법의 스테이블 코인이다. (복잡한 원리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하고 본 글에서는 개념만 파악하기로.) 직관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안전하지 않다고 느껴진다. 가장 직관적으로 안전하다고 느껴지며 현재 널리 통용되는 방식이 담보 방식..
USDT, USDC 등의 스테이블 코인은 거래에 당연하게 사용되지만 우리는 그 중요성에 대해서 생각보다 과소평가하고 있다. 2014년도부터 코인을 접해왔지만 스테이블 코인이 무너질 때, 코인시장이 붕괴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그만큼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너무나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비트코인(BTC)은 미래에 화폐로서의 역할을 하기보다 상품으로써의 가치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하며, 스테이블 코인이 미래의 디지털 화폐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실제로 스테이블 코인의 흐름을 보면 현재 화폐들의 과거 역사와 비슷한 흐름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 느끼곤 한다. 현재 화폐들의 과거 역사를 통해 스테이블 코인과 비트코인의 미래를 살펴보고자 한다. #화폐에 대한 신뢰, 금과 ..
지난 '월가 거물들이 만든 암호화폐 거래소 EDXM에 대하여 I'에 이은글 (https://equityequalityefficiencyjustice.tistory.com/12) #EDXM의 CEO Jamil Nazarali에 대하여 지난 1편에서 EDXM의 주요 임직원에 대해 알아본 바 있다. ErisX 출신의 CTO, 피델리티 출신의 CLO 등이 있었다. 그리고 가장 주요한 CEO는 시타델 증권 출신의 Jamil Nazarali를 임명했다. Jamil Nazarali는 단순 시타델 증권의 임원이 아니다. Jamil Nazarali은 글로벌 전략컨설팅 펌인 베인앤컴퍼니에서 시작한다. 베인앤컴퍼니에서 4년 근무 후 금융분야의 강점을 가지고 있는 시카고 부스 MBA를 거친다. 컨설팅 4년 후 MBA진학하는 ..
월가 거물들이 설립한 암호화폐 거래소 EDXM(EDX Market)이 미국 현지 시간 2023년 6월 20일, 계획발표 9개월 만에 거래를 시작하였다. 블랙록이 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서를 제출한 지 불과 5일 만에 일어난 일이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연쇄적인 움직임은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어느 정도 전통 금융기관들의 암호화폐 진입을 위해 준비되었던 일련의 계획들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의 최종적인 목표가 어떠한 것인지 글을 써보고자 한다. #EDXM에 대하여 EDXM은 시타델 증권, 버투 파이낸셜(주목),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 찰스 슈왑, 세콰이어 캐피탈, 패러다임 등 증권사, 운용사, VC 등 미국 월가의 거물급 금융기관들이 합작하여 만든 암호..
본인은 차트 분석 시, 많은 지표를 참고하진 않는다. 온체인 데이터는 어느 정도 신뢰하지만 그 이외 주식, 선물에서 분석했던 전통 기법들은 잘 활용하지 않는다. 이유는 여럿 있으나, 개인적으로 차트 매매는 심플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인도 주식, 선물 매매 시 많은 기법들을 활용했었으나 결국 최소한의 분석기법만 활용하는 것으로 귀결되더라... Simplicity is the ultimate sophistication. 비트코인 일봉 차트이다. 하락 채널에서 며칠을 갇혀 있었다. 이때, 비트 도미넌스 비율이 줄어들지 않으면서 알트코인들은 폭락이 이어졌다. 그리고 2일 전 매크로 호재 소식과 함께 라가 채널 상단을 이탈하였다. 매물대 저항선과 하락채널 상단으로 굉장히 무거운 자리였음에도 강하게 돌파..
세계 최대 규모의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이 미국 현지 시간 2023년 6월 15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를 신청했다. 개인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을 넘어 금융시장에서도 굉장히 큰 이슈라고 생각되며, 높은 확률로 해당 신청을 최종 승인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블랙록(BlackRock)은 누구이며, 지금 현재 월가에서는 어떤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지 글을 써보고자 한다. #블랙록에 대하여 1988년, 세계 최대 사모펀드인 블랙스톤의 파트너 래리 핑크는 팀원들과 함께 나와 블랙록이라는 자산운용사를 설립한다. 슈워츠만이 이끄는 블랙스톤은 M&A, 부동산, Hedge Fund 등 대체투자 분야에서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세계 최대의 사모펀드이다. 래리 핑크는 슈워츠만..
#포케집에서 시작된 콤부차 최근 들어 포케를 자주 먹는다. 건강해 보이는 음식을 찾던 중 샐러드 대용으로 찾게 되었다. 처음에는 건강해 보여서 먹기 시작했는데 이제 현미밥, 연어/참치, 야채 등 산과 바다의 원재료 조합이 만들어 내는 만족스러운 식감과 맛 때문에 먹고 있다. 그런데 자주 가는 포케집에서는 음료로 콤부차를 판다. 예전에 우연히 콤부차라는 이름에 대한 호기심으로 먹었다가 깜짝 놀랐던 경험이 있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한번 더 도전하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그래서 포케집에 갈 때는 콤부차를 같이 시켜 먹는다. #콤부차란 무엇인가 처음에는 콤부차 석류맛, 콤부차 블루베리맛 등이 있어서 Combination + Tea의 줄임말인가? 라고 생각했다. 나의 호기심은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 찾아보니 ..
#매력없는 토마토 최근에 토마토를 많이 먹고 있다. 우연히 비뇨기과 전문의의 유투브를 보게되었는데 전립선에 좋다고 한다. 원래부터 과일을 좋아했었지만 토마토는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왕이면, 기능적으로 도움이 되는 과일이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토마토 한박스를 시켜서 최근에 아침, 저녁으로 먹고 있다. 그런데 먹다보니 토마토는 굉장히 밍밍한 과일인 것 같다. 사과, 딸기, 파인애플 처럼 달콤하고 새콤한 맛이 아니라 정말 아무 맛이 안난다. 한번 의식해보면서 먹었는데 과즙을 많이 갖고 있는 것 외에 '맛'의 관점에서는 매력적인 과일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어릴 때 먹던 것처럼 설탕을 묻혀서 먹게 되었다. 설탕을 묻히니 이제는 어느정도 과일 다워졌다. 그러던 중 문득 설탕을 뿌려먹으면..
#용어 새로운 분야를 학습할 때 가장 기본은 용어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용어의 정의와 의미를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학습할때 정확하게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공간'(넓게는 '부동산'과 '건축')분야에서의 용어는 한자와 영어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용어라도 서로 달리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간' 분야에서 쓰이는 여러 기본적인 용어에 대해 먼저 말하고자 한다. #단위 대부분 알다시피,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는 ㎡(Square metre라 읽고 줄여서 sqm이라 쓴다.), 평(py라 쓴다.)이 있다. 1py=3.3058sqm, 1sqm=0.3052py이며, 부동산 금융업계 종사자라면 소숫점 넷째자리까지 외우고 있는 것이 상식이다. 사실 더 중요한 것은 mas..
#NFT 발행방법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NFT 표준 선택: NFT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ERC-721 및 ERC-1155와 같은 여러 NFT 표준이 있다. 각 표준에는 고유한 기능 및 요구 사항이 있으므로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표준을 선택해야 한다. NFT 만들기: NFT 표준을 선택한 후 OpenZeppelin 또는 Truffle과 같은 tool들을 이용하여 생성 및 배포할 수 있다. NFT 생성: 이 과정을 민팅(mint)한다고 하며, 일반적으로 "mint()"와 같은 스마트 계약의 명령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NFT를 생성할 때 이름, 설명 및 기타 메타데이터와 같은 NFT의 세부 정보를 지정해야 한다. NFT 판매: OpenSea 또..